top of page

This is my sister

2018

Why do we always presuppose a certain principle, standard, nationality, political ideology, self-regulation, that is, a certain identity, when we think of ourselves? Why do we only understand others and our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the definition of the human nature and the subsequent identity that follows? Each individual should resist perfunctory uniformity, and form subsets that withstand projection into extensive uniformity.  
Although we may consider overlapped structures as one or more baselines, we must acknowledge that they do not blend perfectly as one organic integrated body, and reject attempts to pursue a visible community (the completion of integ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ety and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being reduced to the tradi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beyond the internalism and totalitarianism explored by Maurice Blanchot and Nancy, the possibility of a community without a total fixed plan that exists outside the identity is suggested.

2018-07-09 13.17.08.jpg

왜 우리는 우리를 어떤 원리, 기준, 이념, 국적, 정치적 이데올로기, 자아의 자기 규정 즉 어떤 동일성들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생각 할 수 없는가? 왜 인간 본질에 대한 정의로부터만 그에 따르는 동일성으로부터만 타자와 타인과의 관계를 이해하는가? 각각의 개인은 형식적 통일성에 저항하며, 또한 광대한 통일성에 투영되는 것에 저항하는 부분 집합들을 형성해야 한다. 우리는 서로 중첩된 구조들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준선을 볼 수 있지만그것이 하나의 유기적인 통합체로 완벽하게 혼합되지 않는 다는 것을 공인하고 가시적 공동체(융합의 완성)을 도모하려는 시도에 거부함으로써 사회와 개인, 개인과 집단의 관계가 전통적 공동체로 환원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모리스 블랑쇼가 낭시와 함께 찾았던 내재주의와 전체주의를 넘어서 있으며 전체의 고정된 계획을 갖고 있지 않는 동일성 바깥의 공동체의 가능성을 사유한다.

bottom of page